- 임종(臨鍾)
운명(殞命)이라고도 하는데, 원래 사람이 죽을 때를 말합니다.
임종이 가까워지면 평상시 거처하던 방을 깨끗이 치우고 환자를 눕힌 다음 병자가 평소에 입던 옷중에서 흰색이나
엷은 색의 깨끗한 옷을 골라 갈아 입히고 거처하던 방과 운명한 뒤 모실 방도 깨끗하게 치워둡니다.
유언(遺言)이 있으면 침착한 마음으로 기록하거나 녹음해 두고,
병자가 죽기 전에 가장 보고 싶어하는 친족 친지에게 속히 연락하여 운명을 지켜볼 수 있도록 합니다.
그리고 집안 안팎을 깨끗이 청소한 다음 앉아서 숨이 끊어지기를 기다립니다.
임종이 가까워지면 평상시 거처하던 방을 깨끗이 치우고 환자를 눕힌 다음 병자가 평소에 입던 옷중에서 흰색이나
엷은 색의 깨끗한 옷을 골라 갈아 입히고 거처하던 방과 운명한 뒤 모실 방도 깨끗하게 치워둡니다.
유언(遺言)이 있으면 침착한 마음으로 기록하거나 녹음해 두고,
병자가 죽기 전에 가장 보고 싶어하는 친족 친지에게 속히 연락하여 운명을 지켜볼 수 있도록 합니다.
그리고 집안 안팎을 깨끗이 청소한 다음 앉아서 숨이 끊어지기를 기다립니다.
- 속광(屬鑛)
마지막 숨을 거둔 것을 분명히 확인하기 위하여 햇솜을 코앞에 놓고 숨이 그쳤는지 지켜봅니다.
- 수시(收屍)
병자가 운명한 것을 확인하면 바로 소독한 약솜으로 고인의 코, 귀, 항문 등을 막고 눈을 쓸어 감기도록 한다.
그리고 입을 다물게 한 뒤 머리를 바르게 괴고 손발을 바로 잡습니다.
그리고 홑이불로 몸을 덮고 널판지를 준비했으면 그것으로 시상을 마련, 그곳으로 옮겨 모신 후 병풍으로 가리고
그 앞에 고인의 사진을 모시어 촛불을 켜고 향을 피웁니다.
그리고 입을 다물게 한 뒤 머리를 바르게 괴고 손발을 바로 잡습니다.
그리고 홑이불로 몸을 덮고 널판지를 준비했으면 그것으로 시상을 마련, 그곳으로 옮겨 모신 후 병풍으로 가리고
그 앞에 고인의 사진을 모시어 촛불을 켜고 향을 피웁니다.
- 고복(皐復)
남자의 초상에는 남자가, 여자의 초상에는 여자가 죽은 사람의상의를 가지고 동쪽 지붕으로 올라가 북쪽을 향해 옷을 휘두르며,
죽은 사람의 주소와 성명을 왼 다음에 복이라는 단어를 세번 부릅니다.
채반에 밥 세그릇(사자밥), 술 석잔, 백지 한권, 명태3마리, 짚신 세켤레, 동전 몇닙을 올려 놓고 촛불을 켜서 뜰 아래나
대문 밖에 차려 놓습니다.
된장, 간장, 소금, 물, 술, 짚신(고인, 사자) 세 켤레를 대문밖에 놓습니다.
초혼 후 살아나지 않으면 운명한 것으로 간주하여 그 옷을 지붕 위, 대문, 혹은 고인의 가슴에 놓습니다.
(각 지방의 풍습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죽은 사람의 주소와 성명을 왼 다음에 복이라는 단어를 세번 부릅니다.
채반에 밥 세그릇(사자밥), 술 석잔, 백지 한권, 명태3마리, 짚신 세켤레, 동전 몇닙을 올려 놓고 촛불을 켜서 뜰 아래나
대문 밖에 차려 놓습니다.
된장, 간장, 소금, 물, 술, 짚신(고인, 사자) 세 켤레를 대문밖에 놓습니다.
초혼 후 살아나지 않으면 운명한 것으로 간주하여 그 옷을 지붕 위, 대문, 혹은 고인의 가슴에 놓습니다.
(각 지방의 풍습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 발상(發喪)
발상이란 초상을 알리고 상례를 시작하는 절차입니다.
우선 상주(喪主)와 주부(主婦)를 세우고 근조(謹弔)라고 쓰인 등을 달아 놓거나 상중(喪中) 또는 기중(忌中)이라 쓰인
네모를 대문에 붙여 초상을 알립니다.
다음으로는 호상(護喪)은 자제들 중에서 예법을 아는 사람으로 정해서 초상일을 모두 그에게 물어서 하게 합니다.
우선 상주(喪主)와 주부(主婦)를 세우고 근조(謹弔)라고 쓰인 등을 달아 놓거나 상중(喪中) 또는 기중(忌中)이라 쓰인
네모를 대문에 붙여 초상을 알립니다.
다음으로는 호상(護喪)은 자제들 중에서 예법을 아는 사람으로 정해서 초상일을 모두 그에게 물어서 하게 합니다.
- 습(襲)
습은 시체를 닦고 수의를 입힌 뒤 염포(殮布)로 묶는 절차를 말합니다.
향나무를 삶은 물이나 쑥을 삶은 물로 시신을 정하게 씻긴 후 수건으로 닦고 머리를 빗질한 후 손톱과 발톱을 깍아 주머니에 넣습니다.
다음에 시신을 침상에 눕혀 남자는 남자가, 여자는 여자가 수의를 아래옷부터 웃옷의 순서로 차례로 입힙니다.
다음으로 습전이라하여 제물을 올리고 주인 이하 모두가 자리에서 곡을 합니다. 이어 시신의 입속에 구슬과 쌀을 물려 주는데 이를 반함이라 합니다.
염습의 절차가 끝나면 시자(侍者)는 이불로 시신을 덮게되며 이를 졸습(卒襲)이라 합니다.
향나무를 삶은 물이나 쑥을 삶은 물로 시신을 정하게 씻긴 후 수건으로 닦고 머리를 빗질한 후 손톱과 발톱을 깍아 주머니에 넣습니다.
다음에 시신을 침상에 눕혀 남자는 남자가, 여자는 여자가 수의를 아래옷부터 웃옷의 순서로 차례로 입힙니다.
다음으로 습전이라하여 제물을 올리고 주인 이하 모두가 자리에서 곡을 합니다. 이어 시신의 입속에 구슬과 쌀을 물려 주는데 이를 반함이라 합니다.
염습의 절차가 끝나면 시자(侍者)는 이불로 시신을 덮게되며 이를 졸습(卒襲)이라 합니다.
- 소렴(小殮)
소렴은 시신을 옷과 이불로 싸는 것을 말합니다.
우선 시신을 소렴상에 눕히고 옷을 좋은 것으로 골라서 입히고 이불은 겹으로 합니다.
옷을 입힐때에는 왼편으로부터 여미되 고름은 매지 않으며, 손은 악수(握手)로 싸매고 멱목으로 눈을 가리고 폭건과 두건을 씌웁니다.
옷을 다 입히면 손발을 가지런히 놓고 이불로 싼 뒤 가는 베로 죄어 맵니다.
염습이 끝나면 곧 입관합니다.
이때 시선과 관 벽 사이의 공간을 깨끗한 벽지나 마포 등으로 꼭꼭 채워 시신이 관 안에서 흔들리지 않도록 합니다.
망인이 입던 옷을 둘둘 말아서 빈 곳을 채우기도 합니다.
시신을 고정시키고 홑이불로 덮고 관 꾸껑을 덮은 다음 은정을 박습니다.
그리고 관위에 먹으로 '(직함) (본관) (성명)의 널', 여자의 경우는.(본관)씨의 널' 이라 쓰고, 장지로 싼뒤 노끈으로 묶습니다.
입관이 끝나면 관밑에 나무토막을 깔고 안치한 다음 홑이불 (관보)로 덮어둡니다. 관은 병풍으로 가립니다.
우선 시신을 소렴상에 눕히고 옷을 좋은 것으로 골라서 입히고 이불은 겹으로 합니다.
옷을 입힐때에는 왼편으로부터 여미되 고름은 매지 않으며, 손은 악수(握手)로 싸매고 멱목으로 눈을 가리고 폭건과 두건을 씌웁니다.
옷을 다 입히면 손발을 가지런히 놓고 이불로 싼 뒤 가는 베로 죄어 맵니다.
염습이 끝나면 곧 입관합니다.
이때 시선과 관 벽 사이의 공간을 깨끗한 벽지나 마포 등으로 꼭꼭 채워 시신이 관 안에서 흔들리지 않도록 합니다.
망인이 입던 옷을 둘둘 말아서 빈 곳을 채우기도 합니다.
시신을 고정시키고 홑이불로 덮고 관 꾸껑을 덮은 다음 은정을 박습니다.
그리고 관위에 먹으로 '(직함) (본관) (성명)의 널', 여자의 경우는.(본관)씨의 널' 이라 쓰고, 장지로 싼뒤 노끈으로 묶습니다.
입관이 끝나면 관밑에 나무토막을 깔고 안치한 다음 홑이불 (관보)로 덮어둡니다. 관은 병풍으로 가립니다.
· 설치된 영좌를 다른 곳으로 옮기고 염습장소를 정돈합니다.
· 입관시 넣어 드리고 싶은 물건을 미리 준비했다가 넣습니다.
· 입관이 끝나면 관보를 덮고 관을 안치한 다음 영좌를 재설치 합니다.
· 입관시 넣어 드리고 싶은 물건을 미리 준비했다가 넣습니다.
· 입관이 끝나면 관보를 덮고 관을 안치한 다음 영좌를 재설치 합니다.
- 대렴(大斂)
대렴은 소렴을 마친 후 시신을 입관하는 의식을 말합니다.
이는 소렴을 한 다음날, 즉 고인 사망 후 3일째 날에 행해지며 소렴때와 같이 시신을 맨 후 관을 들여다가 방 서쪽에 놓고 입관을 하며 재물을 올리는 절차는 소렴과 동일하다.
이는 소렴을 한 다음날, 즉 고인 사망 후 3일째 날에 행해지며 소렴때와 같이 시신을 맨 후 관을 들여다가 방 서쪽에 놓고 입관을 하며 재물을 올리는 절차는 소렴과 동일하다.
- 성복(成服)
성복은 대렴이 끝난 이튿날, 즉 죽은지 나흘째 되는 날에 하는 의식으로 성복이란 말은 '정식으로 상복을 입는다.'는 뜻입니다.
성복은 입관한 뒷날 먼동이 밝아올 때 상주이하 모든 복인은 목욕 재개하고 상복을 상위에 진설한 다음 남자는 영구의 동편(오른편) 여자는 서편(왼편)에서 서로 마주보며 제배 합니다.
성복은 입관한 뒷날 먼동이 밝아올 때 상주이하 모든 복인은 목욕 재개하고 상복을 상위에 진설한 다음 남자는 영구의 동편(오른편) 여자는 서편(왼편)에서 서로 마주보며 제배 합니다.
- 천구(遷柩)
천구란 영구를 상여로 옮기는 의식을 말하며 발인 전날 행한다.
이때는 조전을 올리고 이어서 영구를 다시 마루로 옮기고 집사는 포장을 친다. 축관이 혼백을 받들고 영구를 안내하면 주인 이하 모두가 곡을 하면서 뒤를 따른다.
해가지면 조전을 올리고 다음날 날이 밝으면 영구를 상여로 옮긴다.
이때는 조전을 올리고 이어서 영구를 다시 마루로 옮기고 집사는 포장을 친다. 축관이 혼백을 받들고 영구를 안내하면 주인 이하 모두가 곡을 하면서 뒤를 따른다.
해가지면 조전을 올리고 다음날 날이 밝으면 영구를 상여로 옮긴다.
- 발인(發靷)
발인은 영구가 집을 떠나 장지로 향하는 것을 말합니다.
발인에 앞서 간단한 제물을 차려 놓고 제사를 올리는데 이를 발인제라 합니다.
발인에 앞서 간단한 제물을 차려 놓고 제사를 올리는데 이를 발인제라 합니다.
- 운구(運柩)
발인제가 끝난 뒤 영구를 장지나 화장지까지 장의차나 상여로 운반하는 절차이다.
장의차를 이용할 때 상제는 영구를 차에 싣는 것을 지켜본다.
승차 때는 영정, 명정, 상제, 조객의 순으로 오른다.
상여를 이용할 때는 영정, 명정, 영구, 상제, 조객의 순으로 행렬을 지어 간다.
장의차를 이용할 때 상제는 영구를 차에 싣는 것을 지켜본다.
승차 때는 영정, 명정, 상제, 조객의 순으로 오른다.
상여를 이용할 때는 영정, 명정, 영구, 상제, 조객의 순으로 행렬을 지어 간다.
- 하관(下官)
하관이란 장지에 도착하여 장의차나 상여에서 관을 내려 광중(壙中)에 넣는 절차를 말한다.
하관 때는 상주와 복인이 참여하되 곡은 하지 않는다.
광중이란 관을 묻기 위하여 파 놓은 구덩이를 말한다.
관을 들어 수평이 되게 하여 좌향(坐向)을 맞춘 다음 반듯하게 내려놓고 명정을 관 위에 덮는다.
그 다음에는 횡대를 차례로 가로 걸친다.
이때 상주는 '취토(取土)'를 세 번 외치면서 흙을 관위에 세 번 뿌린다.
하관 때는 상주와 복인이 참여하되 곡은 하지 않는다.
광중이란 관을 묻기 위하여 파 놓은 구덩이를 말한다.
관을 들어 수평이 되게 하여 좌향(坐向)을 맞춘 다음 반듯하게 내려놓고 명정을 관 위에 덮는다.
그 다음에는 횡대를 차례로 가로 걸친다.
이때 상주는 '취토(取土)'를 세 번 외치면서 흙을 관위에 세 번 뿌린다.
- 성분(成墳)
성분이란 석회와 흙을 섞어서 관을 완전히 덮는 절차를 말한다.
이때 빨리 굳도록 물을 조금씩 끼얹고 발로 밟아 다진다.
평토를 한 다음 흙을 둥글게 쌓아올려 봉분을 만들고 잔디를 입힌다.
지석(誌石)은 평토가 끝난 뒤 무덤의 오른쪽 아래에 묻으며 이는 나중에 봉분이 허물어지더라도 누구의 묘인지를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성분이 되면 제를 올린다.(위령제)
이때 빨리 굳도록 물을 조금씩 끼얹고 발로 밟아 다진다.
평토를 한 다음 흙을 둥글게 쌓아올려 봉분을 만들고 잔디를 입힌다.
지석(誌石)은 평토가 끝난 뒤 무덤의 오른쪽 아래에 묻으며 이는 나중에 봉분이 허물어지더라도 누구의 묘인지를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성분이 되면 제를 올린다.(위령제)
- 반곡(返哭)
장례를 마친 후 상주 이하가 요여를 모시고 곡하면서 귀가하는 절차이다.
제가 끝나면 혼백, 영전을 모시고 묘의 시계 반대방향으로 세 바퀴 둘러 되돌아온다.
제가 끝나면 혼백, 영전을 모시고 묘의 시계 반대방향으로 세 바퀴 둘러 되돌아온다.
- 우제(虞祭)
우제란 신주를 안위시키는 제이며 삼우란 산소에 가서 묘의 성분상태를 잘 살펴보고 묘 앞에 간소한 제수를 진설하여 제를 올린다음
묘의 우측 묘앞에서 보면 좌측 약 3족 정도 앞으로 나와 10cm 깊이로 땅을 파서 혼백상자를 묻어두고 돌아온다.
이후에는 지방(신위)를 모십신다.
우제는 초우, 재우, 삼우 3번 지내는 것이다.
묘의 우측 묘앞에서 보면 좌측 약 3족 정도 앞으로 나와 10cm 깊이로 땅을 파서 혼백상자를 묻어두고 돌아온다.
이후에는 지방(신위)를 모십신다.
우제는 초우, 재우, 삼우 3번 지내는 것이다.
· 초우(初虞) : 장례를 지낸날 중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 재우(再虞) : 초우를 지낸후 유일(柔日)을 당하는 날에 지내는 제사로 유일이란 乙, 丁, 己, 辛, 癸에 해당하는 날을 의미한다.
· 삼우(三虞) : 재우를 지낸 후 강일(剛日)을 당하는 날에 지내는 제사로 강일이란 甲, 丙, 戊, 庚, 壬에 해당하는 날을 의미한다.
· 재우(再虞) : 초우를 지낸후 유일(柔日)을 당하는 날에 지내는 제사로 유일이란 乙, 丁, 己, 辛, 癸에 해당하는 날을 의미한다.
· 삼우(三虞) : 재우를 지낸 후 강일(剛日)을 당하는 날에 지내는 제사로 강일이란 甲, 丙, 戊, 庚, 壬에 해당하는 날을 의미한다.
- 탈상(脫喪)
탈상이란 상기가 끝나고 복을 벗는 절차를 이르는 말로 탈상은 부모, 조부모, 배우자의 경우 별세한 날로부터 100일까지이고,
그 밖의 경우는 장례일까지이다.
이때 지내는 제사가 탈상제인데 제사 지내는 방법은 기제(忌祭)에 준한다.
영좌(빈소) 앞에서 제수를 차려 분향하고 차례대로 잔을 올리고 탈복하면 된다.
마지막으로 상주가 전 드린 다음 수저를 내리고 제관 일동 두번 절하고 음복하는 것으로 모든 상기는 마치게 된다.
그 밖의 경우는 장례일까지이다.
이때 지내는 제사가 탈상제인데 제사 지내는 방법은 기제(忌祭)에 준한다.
영좌(빈소) 앞에서 제수를 차려 분향하고 차례대로 잔을 올리고 탈복하면 된다.
마지막으로 상주가 전 드린 다음 수저를 내리고 제관 일동 두번 절하고 음복하는 것으로 모든 상기는 마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