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영락곡원은 대한민국 장례문화의 표준입니다
Home › 장사관련정보 › 상장례정보

상장례정보

인쇄하기
기독교식장례:기독교식 장례는 처음부터 끝까지 목사의 주례와 집전으로 진행된다. 
운명한 시신의 수시부터 목사가 직접 주관한다.
장례식 전날 염습을 하고 입관하는데, 이때에도 반드시 목사의 집례 아래 예배를 본다.
기독교식 장례식에서는 분향을 하지 않고 헌화를 한다. 상주, 유족, 친지, 조객의 
순으로 한 송이씩 헌화한다. 장례식도 물론 예배로 거행한다.
장지에 도착하면 하관 예배를 드린다. 상제들이 관 위에 흙을 뿌리고 봉분한다.
기독교식 장례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기독교식 장례

  • 영결식순
1. 개식사
2. 찬송 : 주례 목사가 임의로 선정
3. 기도 : 고인의 명복을 빌고 가족들을 위로하는 내용의 기원
4. 성경봉독
5. 시편낭독
6. 기도
7. 약력 보고
8. 목사의 설교
9. 주기도문
10.출관
  • 하관식순
1. 기도 : 주례 목사가 한다
2. 성경낭독
3. 선고 : 참석자중의 누구든지 흙을 집어 관에 던지고 목사는 하나님께로부터 왔다가 다시 돌아감을 선언한다.
4. 기도 : 명복을 비는 기도를 주례 목사가 한다.
5. 주기도문
6. 축도
  • 아동 영결식순
1. 식사 : 개식의 선언으로 목사가 한다
2. 찬송 : 목사가 임의로 선택한다.
3. 기도 : 명복을 비는 기원이다.
4. 성경봉독
5. 위안사 : 주예 목사가 가족들에게 하는 위안의 말이다.
6. 기도
7. 출관
    ※ 참고문헌
  • 日常生活에 必要한 家禮寶典(1985)
  • 家庭儀禮大百科
  • 冠婚喪祭(李民樹 編譯)
  • 冠婚喪祭(韓龍得 編著)
  • 冠婚喪祭禮大典(韓重洙 編著)
  • 百年前의 韓國(金源模, 鄭成吉 編著)
  • 四禮便覽
  • 新舊 冠婚喪祭(李家源 監修)
  • 新譯 冠婚喪祭(金寬峯 編著)
  • 알기쉬운 冠婚과 喪祭(高庭基 著)
  • 衣(石宙善 著)
  • 사진으로 보는 家庭儀禮(1995, 朝鮮日報社)
  • 韓國服蝕史(石宙善 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