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영락곡원은 대한민국 장례문화의 표준입니다
Home › 장사관련정보 › 상장례정보

상장례정보

인쇄하기
부고는 호상이 상주와 의논하여 고인이나 상제와 가까운 친척과 친지에게 신속히 발송한다.
부고에는 반드시 장일과 장지를 기록한다.
부고의 전달에는 사람이 직접 전하는 전인부고, 우편부고, 신문부고 등이 있으며, 가까운 친지에게는 전화로 알릴 수도 있다.

전통식 부고

① 喪主姓名 : 맏상주의 성명을 기록
② 亡人稱呼 : 부고는 호상이 보내는 것으로 돌아가신 사람이 상주의 아버지인 경우에는 《大人》, 어머니면《大附人》,
할아버지면 《王大人》, 아내이면 《婦人》이라고 쓴다.
③ 亡人性名 : 돌아가신 분의 성명을 쓴다.
④ 老 患 : 늙으신 분이 돌아가셨을 경우에 쓴다. 만일 젊은 사람이 병으로 죽었을 경우에는 《患》이라고 쓰고,
뜻밖에 죽었을 때는 《事故死》라고 쓴다.
전통식 부고

    ※ 참고문헌
  • 日常生活에 必要한 家禮寶典(1985)
  • 家庭儀禮大百科
  • 冠婚喪祭(李民樹 編譯)
  • 冠婚喪祭(韓龍得 編著)
  • 冠婚喪祭禮大典(韓重洙 編著)
  • 百年前의 韓國(金源模, 鄭成吉 編著)
  • 四禮便覽
  • 新舊 冠婚喪祭(李家源 監修)
  • 新譯 冠婚喪祭(金寬峯 編著)
  • 알기쉬운 冠婚과 喪祭(高庭基 著)
  • 衣(石宙善 著)
  • 사진으로 보는 家庭儀禮(1995, 朝鮮日報社)
  • 韓國服蝕史(石宙善 著)